2016. 9. 23. 15:09ㆍ예단
예단의 모던화, 쁘띠 예단
결혼식이 서구화된 지 오래지만, 여전히 우리 전통의 혼례 풍습은 남아있다. 하지만, 갈수록 전통이 퇴색하면서 예단(禮緞)도 모던화되는 추세이다. 전통의 의미는 담되, 거추장스러움은 걷어낸 쁘띠 예단이 요즘의 트렌드다. 보내는 이의 마음을 담은 정성이 깃든 쁘띠 예단 보내기.
쁘띠 예단
예비 신부가 시어머니께 앞으로 새로운 가족으로 맞이함에 있어, 실수도 너그러이 봐주고 예쁘게 봐달라는 의미로 드리는 선물을 애교 예단(혹은 쁘띠 예단)이라고 말한다. 함 안에 구성은 현금예단봉투와 찹쌀이 든 청색 주머니, 팥이 든 홍색주머니, 자수손거울, 귀이개를 예쁘게 포장하여 보낸다. 손거울은 ‘예비신부 예쁘게 봐주세요’, 찹쌀은 부부의 백년해로를 기원, 팥은 잡귀나 부정을 막는, 귀이개는 ‘예쁜 말, 좋은 소리만 들어주세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함(函)
신랑 집에서 신부댁으로 보내는 선물. 기러기 한 쌍, 오방주머니(음양오행의 방위에 맞춰 노랑, 파랑, 빨강, 하양, 검정색으로 만든 주머니 안에 쌀, 보리, 콩, 조, 기장 등의 곡물을 채운다.), 현금(예물)을 예쁘게 포장하여 신부댁에 감사함을 표하고자 보낸다
동양적인 멋을 살린 부케
조와 햇팥을 각각 모시그릇에 채웠다. 신부를 상징하는 부케를 전통 느낌으로 표현하여 모시 그릇 안 곡식 사이에 세운다. 힘들고 어려운 일이 생겨도 결혼식 때 가졌던 마음으로 행복하게 잘 살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동양 꽃꽂이
인공적이지 않은 자연소재를 자연스러운 굴곡과 선을 이용하여 기품 있고 절제감 있게 표현한 동양 꽃꽂이. 동양의 아름다운 선과 여백의 미를 함께 표현했다. 꾸미지 않고 진실함과 절제, 그리고 부족하지만 열심히 노력하며 배움으로 채우겠다는 의지를 신랑 측 어른들께 전하는 마음을 담았다. 쁘띠 예단을 보낼 때 함께 보낸다.